정다운(208140)
한국투자증권 이나예
안마당으로 들어온 오리
식문화 변화에 따르는 가공육 부문의 성장세에 주목한다. 2013년 가공육 부문의 매출 비중은 11.6%로 신선육 비중 51.4%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었으나 2014 년 17.6%, 2015년 28.8%, 2016년엔 29.8%, 2017년 23.7%로 꾸준히 높아지 고 있다. 2017년 가공육 비중은 23.7%로 2016년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이는 큰 폭의 신선육 매출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실제 가공육 부문의 매출액은 2016년 169억원에서 2017년 190억원으로 12.4% 증가했다. 가공육의 이익률이 신선육 보다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공육 비중의 상승은 전사 이익률 측면에도 긍정적이다.
오리가격상승 + 매출처 다변화
오리가격 상승과 매출처 다변화, 오리고기에 대한 인식 변화가 2018년 실적 성장 을 이끌 것이다. 최근 오리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2016~17년에 걸쳐 발 생한 조류독감의 영향으로 오리 살처분이 진행되면서 공급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입식제한 권고조치가 지속되고 있어 한동안 오리가격의 강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2017년 이후, 본격화된 매출처 다변화도 긍정적이다. 과거 정다운의 매출처는 주 로 단체 급식소나 음식점을 거래처로 둔 도매사업자였으나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B2C사업을 영위중인 유통기업으로 매출처가 다변화되고 있다. B2C채널을 보유하 고 있는 유통기업들로의 납품 확대는 고객과의 접점 확대로 이어지며 오리고기도 가정식이라는 인식 확산과 그에 따른 매출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사상 최대 실적전망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12억원, 127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신선육과 가공육, 우모(羽毛, 깃털)수출까지 전 사업부에 걸친 고른 성 장이 예상된다. 2014년 이후, 세 차례에 걸쳐 발생한 조류독감은 오리고기 시장의 규모를 축소시켰으나 꾸준하게 계열화 사업을 추진해온 정다운에게는 점유율 확대 의 기회로 작용했다. 가격과 점유율의 동반 상승이 예상되는 만큼 관심을 기울일 시점이다.
우모가격의 반등
우모사업은 정다운의 전체 매출에서 약 1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도압 과 정에서 발생한 우모를 1차 가공하여 대만, 베트남 등에 위치한 2차 가공업체로 전량 수출하고 있다. 옷, 침구류 제조기업 등으로부터의 수요가 꾸준하게 발생하 고 있는 가운데, 가격 또한 2016년을 저점으로 반등하고 있어 긍정적이다. 2018 년엔 도압수 증가와 가격 상승에 힘입은 우모 사업부문의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사상최대실적 전망
2018년, 사상 최대 실적이 전망된다. 2017년 실적 성장의 배경이었던
1) 수요층 확대와 유통 채널 다변화,
2) 오리가격 상승 및 가공육 매출 증가가 2018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대상, 아워홈 등 급식업체 위주였던 납 품처가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으로 확대되면서 소비자와 만날 수 있는 채널이 다 양화되고 있다는 점은 오리고기의 가정식 시장 침투를 가속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Stock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인바운드 관광객과 호텔신라 (0) | 2018.05.24 |
---|---|
가전의 견고함과 자동차 부품의 성장성 LG전자 (0) | 2018.05.23 |
지주사 전환 앞둔 우리은행 (0) | 2018.05.21 |
씨젠(096530) 바이오주 할증은 언제까지? (0) | 2018.05.21 |
여성브랜드 충성고객 1위 한섬 (0) | 2018.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