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15일 인적쇄신 명단 발표 결과 현역의원 112명 가운데 18.8%에 해당하는 21명의 이름이 명단에 올랐다. 그동안 ‘10명+α(알파)’의 현역의원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됐지만, 이날 단행한 인적쇄신 규모는 예상보다 컸다.
이날 당협위원장 자격을 박탈하거나 향후 공모에서 배제하기로 한 현역의원 21명 중 일부는 즉각 분통을 터뜨렸다. 특히 이번 인적쇄신 명단에 12명의 이름을 올린 친박(친박근혜)계 내지 잔류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거세다.
친박 핵심인 홍문종 의원은 “당 개혁 운운할 때부터 나를 교체명단에 집어넣을 것으로 예상했다”며 “내가 친박계의 대표 인물인데 나를 어떻게 빼놓을 수가 있겠느냐”고 연합뉴스를 통해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번 발표로 비상대책위원회의 속셈이 그대로 드러났다”며 “당의 주인은 우리라는 생각에는 변화가 없고, 하루 이틀 더 생각해보고 추후 행보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범친박계로 통하는 김정훈 의원은 “어이가 없다”며 “20대 총선 때 정책위의장을 했다고 총선 패배의 책임을 물리는 것 같은데, 정책위의장이 왜 그런 책임을 져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윤상현 의원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난 총선에서도 공천에서 배제됐지만, 무소속으로 출마해 살아 돌아왔더니 이번에 또 이런 일을 당했다”며 “일사부재리 원칙도 없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친박으로서 책임을 지라면 지겠지만, 단일대오를 형성해서 반문(반문재인) 투쟁을 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덧붙였다.
인적쇄신의 칼날을 피하지 못한 현역의원 21명 중 친박(친박근혜)‧잔류파는 12명, 비박(비박근혜)‧복당파는 9명이다. 특히 양 계파의 핵심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친박계에서는 최경환‧홍문종‧윤상현 의원이 포함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참모나 관료를 지낸 김재원(전 청와대 정무수석)‧윤상직(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곽상도(전 청와대 민정수석)‧정종섭(전 행정자치부 장관) 의원도 교체대상에 포함됐다. 박근혜 정부 국정실패와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물은 결과다.
지난 2016년 20대 총선 당시 각각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서 선거운동을 지휘한 원유철‧김정훈 의원에 대해서는 ‘총선 공천 파문’이라는 명목으로 당협위원장 박탈 또는 공모 배제 결정을 내렸다.
탄핵 정국에서 탈당해 바른정당을 만들었다가 다시 한국당으로 돌아온 비박‧복당파 의원들도 대거 포함됐다.
비박계의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의 경우에는 이미 2020년 21대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하고 당협위원장을 내놓았는데도 향후 공모 대상에서 배제한다고 발표했다. 권성동‧김용태‧이종구‧이군현‧이은재‧황영철‧홍일표‧홍문표 의원 등도 물갈이 대상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 중 이군현‧권성동‧홍일표 의원은 검찰 기소가, 홍문표 의원은 지난 지방선거 참패가 물갈이 대상에 오른 주된 이유다.
한국당의 텃밭인 서울 강남갑과 서울 강남병을 지역구로 둔 이종구‧이은재 의원의 경우에는 ‘기득권 안주’라는 이유가 붙었다.
이날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나경원 원내대표와 조강특위 위원들은 인적쇄신의 폭을 놓고 충돌한 것으로 전해졌다.
나 원내대표는 현역의원의 숫자가 너무 많다고 문제를 제기했지만, 조강특위 위원들은 양보할 수 없다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나 원내대표는 의결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이 단일대오를 이루고 대여투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많은 전사를 잃는 경우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며 “통합에 있어서 진통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원문 : https://news.joins.com/article/23211977
'테마주분석 > poli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 후보 오세훈 관련주 (0) | 2025.02.04 |
---|---|
2019년8월 재미로 보는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0) | 2019.09.04 |
조국 민정수석 관련 테마주 (0) | 2019.06.30 |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은 경제문제 (0) | 2018.12.15 |
한국당 원내대표 나경원의원 (1) | 2018.12.15 |